소셜로그인 중단 안내

계정으로 로그인 기능이 2023년 11월 16일 중단되었습니다.

아이보스 계정이 사라지는 것은 절대 아니며, 계정의 이메일 주소를 이용해 로그인 하실 수 있습니다.

▶️ 자세한 공지사항 확인

모르면 바보 되는 2025년 SEO VS AEO VS GEO 용어 총정리(구글 공식 발표)

2025.07.31 10:10

나르엔터프라이즈

조회수 91

댓글 0

2025년 7월, Google Search Central Live Deep Dive APAC에서 게리 일리스(Gary Illyes)가 AI 시대 구글 검색의 작동 원리를 공개했습니다. 구글의 웹마스터 트렌드 분석가(Webmaster Trends Analyst)인 그는 크롤링, 인덱싱 등 복잡한 기술적 주제를 SEO 커뮤니티에 직접 설명하는 구글의 핵심 대변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구글의 공식 입장을 담은 그의 발표 자료를 바탕으로 SEO, AEO, GEO 용어를 명확히 정리해보겠습니다. 특히 업계에서 널리 통용되던 기존 정의가 구글의 공식 발표와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기존에 전문가들이 정의했던 SEO, AEO, GEO

AI Overview와 AI 검색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SEO 업계는 AI 시대에 맞는 새로운 최적화 방법론을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용어를 정의해왔습니다. 먼저 SEO 전문가들이 기존에 정의한 SEO, AEO, GEO의 개념부터 살펴보겠습니다.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SEO(검색엔진최적화)는 검색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해 그에 맞는 고품질 콘텐츠를 제작하고, 웹사이트 구조를 최적화하여 자연 검색 결과 검색 노출을 통해 트래픽을 늘리는 모든 활동을 의미합니다.

SEO 검색 결과 예시

'생성형엔진최적화 컨설팅' 키워드로 구글 검색한 결과 - 전통적인 SEO 방식의 링크 나열형 검색 결과


AEO(Answer Engine Optimization)

AEO(답변엔진최적화)는 사용자의 질문에 대해 검색 결과 페이지(SERP)에서 직접적인 '정답'으로 콘텐츠가 노출되도록 최적화하여, 사용자의 즉각적인 궁금증 해결에 집중하는 전략을 의미합니다.

AEO 검색 결과 예시

'생성형엔진최적화 컨설팅' 키워드로 구글 검색한 결과 - AEO 최적화가 적용된 답변형 검색 결과 (피처드 스니펫, People Also Ask 등)


AEO를 더 정확히 이해하려면 AEO의 진화 과정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AEO의 진화 과정

시작: 피처드 스니펫 (Featured Snippet)

구글이 단순한 웹사이트 링크 나열을 넘어, 사용자 질문에 가장 적합한 답변을 특정 웹페이지에서 추출해 검색 결과 최상단(Position Zero)에 보여주기 시작했습니다. SEO 전문가들은 이 '정답 상자'에 자신의 콘텐츠를 노출시키기 위한 최적화 방법을 연구했고, 이것이 바로 AEO의 출발점이었습니다.


확장: 다양한 답변 형태의 등장

이후 구글은 '사람들이 또한 질문하는 질문(People Also Ask)', 별점이나 레시피 정보를 보여주는 '리치 스니펫(Rich Snippet)', 인물이나 장소 정보를 요약하는 '지식 패널(Knowledge Panel)' 등 다양한 형태로 직접적인 답변을 제공하기 시작했습니다. AEO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답변' 영역 최적화로 자연스럽게 확장되었습니다.


현재: AI Overview

AI Overview는 이러한 흐름의 가장 진보된 형태입니다. 기존에는 하나의 웹페이지에서 답변을 '추출'했다면, 이제는 여러 웹페이지의 정보를 AI가 종합하고 요약하여 '생성'하는 방식으로 발전했습니다.


GEO(Generative Engine Optimization)

GEO(생성형엔진최적화)는 생성형 AI가 사용자 질문에 대한 답변을 생성할 때, 내 콘텐츠를 신뢰할 수 있는 정보 소스로 학습하고 인용하여 최종 답변에 유리하게 반영되도록 하는 최적화 과정을 의미합니다.

GEO 검색 결과 예시

'생성형엔진최적화(GEO) 컨설팅 제공하는 회사 알려줘' 질문에 대한 구글 제미나이의 답변 - GEO 최적화가 적용된 생성형 AI 답변 결과


이처럼 전문가들은 SEO, AEO, GEO의 방법론이 서로 다를 것이라는 가설 하에 세 가지 최적화 개념을 구분해 정의해왔습니다. "SEO만 있을 뿐 AEO와 GEO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반론과 함께 여러 논쟁이 이어져왔지만, 2025년 7월 28일 구글의 공식 발표로 모든 상황이 정리되었습니다.


구글의 공식 발표: "AEO는 존재하지 않는다"

구글 검색 분석가 게리 일리스의 발표에 따르면 AEO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는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AI overview와 AI Mode 모두 정보를 수집(Crawling), 저장(Indexing), 제공(Serving)하는 모든 과정에서 기존의 전통적인 검색과 완전히 동일한 시스템을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수집(Crawling): 구글봇이 인터넷상의 웹페이지들을 방문하여 콘텐츠를 읽어오는 과정
저장(Indexing): 수집한 정보를 구글의 거대한 데이터베이스에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저장하는 과정
제공(Serving): 사용자가 검색할 때 저장된 정보 중에서 가장 적합한 결과를 찾아 보여주는 과정


즉, 구글의 관점에서는 구글 검색 AI Overview나 AI Mode 답변에 노출되기 위한 AEO라는 별도의 최적화 방법론은 존재하지 않으며, SEO = AEO라는 것입니다. AI Overview나 AI Mode 모두 답변 형태의 검색 결과도 결국 동일한 크롤링, 인덱싱, 랭킹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기 때문입니다.


동일한 크롤러

AI Overview/AI Mode를 위한 정보 수집은 기존 웹페이지를 수집하던 'Googlebot'이 담당합니다. 별도의 'AI Mode 크롤러'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동일한 인덱스

Googlebot이 수집하여 정리한 거대한 웹 '인덱스'를 기반으로 AI Overview의 답변을 생성합니다. 구글에 인덱싱되지 않은 페이지의 내용은 AI Overview/AI Mode에 나올 수 없습니다.


동일한 SEO 원칙

AI Overview/AI Mode를 위한 특별한 SEO(AEO)는 필요하지 않다고 여러 번 강조했습니다. 기존의 고품질 콘텐츠 제작, 기술적 SEO 최적화 등 '표준적인 SEO'가 그대로 적용됩니다.


*구글 AI Mode는 아직 한국에 도입되지 않은 서비스입니다. AI를 구글 검색에서 이용하는 서비스로 볼 수 있습니다. 자세한 설명은 구글의 문서 Expanding AI Overviews and introducing AI Mode를 참고해 주세요.


그렇다면 GEO는?

이번 Google Search Central Live Deep Dive APAC 공식 발표로 링크드인과 SEO, 마케팅 커뮤니티에서는"AEO와 GEO 같은 건 없다, SEO뿐이다"라는 견해가 공유되고 있는데요. 이는 사실이 아닙니다. 구글의 공식 발표 자료에서도 Gemini의 작동에 대해서는 다른 프로세스가 있다고 밝혔기 때문입니다.

컨퍼런스에서 공개한 자료를 바탕으로 그 내용을 설명해보겠습니다. 아래 이미지 하단 부분의 파란색으로 표시된 'Gemini'의 Crawling - Indexing - Serving에 대한 내용입니다.

구글에서 AI mode, Ai overview, Gemini의 작동 방식에 대해 설명한 장표

구글에서 AI mode, AI overview, Gemini의 작동 방식에 대해 설명한 장표 (출처: Dan Taylor, Search Engine Journal)


Crawling(수집)

'Googlebot'이라고 명시하지 않고 복수형 'crawlers'로 표현했습니다. 이는 Gemini 모델 학습이나 페이지 수집을 위해 별도의 크롤러들을 함께 사용한다는 의미입니다.


Indexing (색인)

"Uses some of the same technologies, eg. tokenization, deduping"라는 표현은 토큰화, 중복 제거 등 일부 동일한 기술을 사용한다는 의미입니다. 즉, 색인 과정에서도 Gemini는 기존 구글 검색에 탑재된 기술 외에 추가적인 기술을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Serving (제공)

"Grounds on Search Index"라고 표현했습니다. 이는 Gemini가 검색 시스템의 일부가 아니므로, 필요할 때 '외부 도구'로서 구글 검색 인덱스에 접속하여 최신 정보를 가져와 답변을 보강한다는 의미로 볼 수 있습니다.


종합하면 Gemini는 수집-색인-제공 모든 과정에서 기존 구글 검색 시스템을 기반으로 작동하지만, 기존 구글 검색 시스템을 그대로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이에 따라 AI 검색 최적화를 위한 작업인 생성형엔진최적화(GEO)는 여전히 연구 대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2025 SEO, AEO, GEO 용어 총정리 결론

지금까지 설명드린 내용의 핵심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번 글이 SEO, AEO, GEO의 관계와 개념에 대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SEOGEO
목록
댓글 0

아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나르엔터프라이즈님의 게시글에 첫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 새로고침
로그인 후 더욱 많은 기능을 이용하세요!아이보스 로그인
아이보스 칼럼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