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로그인 중단 안내

계정으로 로그인 기능이 2023년 11월 16일 중단되었습니다.

아이보스 계정이 사라지는 것은 절대 아니며, 계정의 이메일 주소를 이용해 로그인 하실 수 있습니다.

▶️ 자세한 공지사항 확인

[DMC] 2019년 11월 디지털 광고 효율 분석

2020.02.13 18:00

마미손

조회수 6,838

댓글 0



DMC미디어에서 제공하는 '2019년 11월 디지털 광고 효율 분석'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D


INTRODUCTION
디지털 광고 효율 분석 보고서는 2019년 11월 DMC미디어에서 집행한 약 400건 이상의 실제 캠페인 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되었다.

1장에서는 매체 유형별 실 집행 평균 효율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검색 포털에서는 네이버, 동영상 포털에서는 유튜브 및 아프리카TV가 각각 평균 조회 및 클릭률 측면에서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SNS에서는 네이트온(평균 클릭률 기준), 트위터(평균 조회율 기준)가 11월 최고 효율을 달성한 매체였다. 또한 애드 네트워크 매체로는 시그널플레가 효율적이었으며, 전문 매체 중에서는 허니스크린(평균 클릭율 기준) 및 키즈노트(평균 조회율 기준)가 우수했다.

2장에서는 한정된 예산으로 광고를 집행했을 경우에 나타나는 효과를 규모 관점에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보고서에서는 상품별 10만원 당 평균 노출수, 클릭수, 조회수의 절대량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 동영상 광고는 유튜브 Masthead_VHM, TrueView Discovery, Bumper Ads가 각각 예산당 노출, 클릭, 조회수 측면에서 가장 경제적이었다. 동일한 기준으로 배너 광고는 네이트의 기사 하단NA, 허니스크린 CPM 배너, 네이버_M_메인_브랜딩DA가 예산당 노출수, 클릭수, 조회수 항목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다. 한편, 기타광고는 구글 Universal App Campaign(예산당 노출수 기준), 버즈스크린 유튜브 구독하기(예산당 클릭수 기준)상품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디지털 광고는 매체 및 상품마다 효율 측정 방식이 상이하며(이를테면, A매체는 광고의 노출 즉시 1 view로 취급하나, B매체는 유저가 5초 이상 광고를 시청할 시에만 1 view로 취급함), 효율이 의미하는 바가 상품 구현 방식, 캠페인 목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매체 선정을 목표로 하고 있는 마케터라면 보고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초적인 효율 지표뿐만 아니라 광고 상품 특성과 캠페인 목표를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다.

디지털 미디어의 급격한 발전으로 매체 환경이 다각화됨에 따라 마케터들은 어떤 매체에 어떤 광고를, 어떤 시기에 집행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을 필연적으로 마주하게 된다. 창의적인 광고 소재만큼 매체 전략 또한 광고/마케팅 활동의 성과를 결정짓는 핵심 요인이 되어버린 시대에 본 보고서가 디지털 매체 활용 전략을 고민하는 광고주, 광고대행사, 마케터들에게 매체 및 광고 상품 활용 인사이트를 제공하기를 바란다.

리포트는 출처 링크 혹은 첨부파일을 확인해주세요.

※ PDF 파일로 제공됩니다.

DMCDMC미디어디지털광고광고효율디지털마케팅
목록
댓글 0

아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마미손님의 게시글에 첫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 새로고침

마미손

03. 136,4352

마미손

03. 126,5407

마미손

03. 115,6682

마미손

03. 105,7172

마미손

03. 0916,49864

마미손

03. 066,5116

마미손

03. 058,0318

마미손

03. 0333,076186

마미손

02. 285,0652

마미손

02. 275,0863

마미손

02. 276,73513

마미손

02. 265,1845

마미손

02. 255,4896

마미손

02. 205,0235

마미손

02. 1811,01023

마미손

02. 1711,13712

마미손

02. 145,6243

마미손

02. 136,8393

마미손

02. 126,95318

마미손

02. 106,1184
목록
로그인 후 더욱 많은 기능을 이용하세요!아이보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