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로그인 중단 안내

계정으로 로그인 기능이 2023년 11월 16일 중단되었습니다.

아이보스 계정이 사라지는 것은 절대 아니며, 계정의 이메일 주소를 이용해 로그인 하실 수 있습니다.

▶️ 자세한 공지사항 확인

[나스미디어] 디지털 미디어&마켓 이슈 (2025.02)

2025.02.19 13:52

박승준이

조회수 496

댓글 0




INDEX


MEDIA ISSUE

- 네이버, 2024년 4분기 광고 및 커머스 사업 호조...연 매출 10조 돌파

- 카카오, 2024 매출 및 영업이익 각 4.2%, 6.6% 증가...B2C AI 순차 공개 예정

- 넷플릭스, 2025년 한국 및 글로벌 작품 라인업 공개... '장르 다양성 확장'



MARKET ISSUE

- '글로벌 팬덤 플랫폼'의 성장성 주목...카카오엔터 '베리즈' 연내 출시 목표

- 배달앱 '전국 구독 시대' 개막, 구독 서비스 경쟁 본격화


이 달의 단신 소식




나스미디어가 주목한 이달의 이슈는?

NAS PICK. 이달의 인사이트



넷플릭스 이용자가 갑자기 늘어난 이유


📌'더 글로리' 이후 최고 기록? 넷플릭스 월간활성이용자 1,300만 명 육박📈

최근 넷플릭스의 이용자 증가세가 심상치 않습니다. 넷플릭스의 1월 MAU(월간활성이용자수)는 1,293만 명을 기록했는데요.(코리안클릭 데이터 기준) 이는 2023년 1월 월간 활성 이용자 수 1,263만 명을 기록했던 이후 최고 수치입니다. 한창 '더 글로리'가 공개(2022년 12월)되어 인기를 끌던 시기이기도 하죠. '더 글로리'의 역대급 인기 이후 넷플릭스의 MAU는 지속적으로 하락하다가 2024년 7월 920만 명 수준까지 떨어지기도 했는데요. 2024년 11월 이후 급격한 이용자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오징어게임 시즌2', '솔로지옥 4', '중증외상센터' 등 오리지널 콘텐츠들이 연이어 화제몰이에 성공한 것이 큰 이유입니다. 특히 '오징어게임 시즌2'에 이어 연달아 '중증외상센터'가 공개돼 설 연휴에 입소문을 타고 엄청난 흥행을 거뒀죠.


📌넷플릭스의 제휴 전략이 한 몫 했습니다🤝

사실 넷플릭스의 MAU가 크게 증가한 데에는 오리지널 콘텐츠 외에도 넷플릭스의 '제휴 전략'이 컸습니다. 넷플릭스는 지난 11월부터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이용자에게 추가 요금 없이 넷플릭스 광고 요금제 이용 옵션을 제공했는데요. 월 5,500원인 넷플릭스 광고형 스탠다드 요금제보다 월 4,900원의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이 더 저렴한 탓에 많은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이용자들이 넷플릭스로 유입됐습니다. 넷플릭스에 따르면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제휴 이후 광고형 스탠다드 요금제 회원이 30%가 증가했다고 해요.


SBS와의 제휴도 큰 이슈였습니다. SBS를 포함한 지상파 3사는 기존에 웨이브에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었죠. 그러나 2024년 하반기, 지상파가 웨이브와 체결한 콘텐츠 독점 계약이 만료되면서 넷플릭스도 그 자리에 합류했습니다. 2024년 12월, 넷플릭스는 SBS와 콘텐츠 공급 관련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해 올해부터 6년간 '런닝맨', '그것이 알고싶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이야기' 등 SBS의 인기 예능/교양 프로그램과 '스토브리그' 등 옛 인기작들을 공개하게 되었습니다. (참고로 KBS는 티빙과, MBC는 쿠팡플레이와 손을 잡았습니다.) 이렇듯 넷플릭스는 네이버와의 제휴를 통해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이용자를 흡수하고 SBS와의 제휴로 콘텐츠 라인업을 다양하게 가져가면서 이용자를 확대할 수 있었죠.


📌넷플릭스 광고 인벤토리 증가, 월 4,000원 광고형 요금도 나왔다?

넷플릭스에 따르면 광고 요금제가 도입된 국가에서 신규 가입자의 55% 이상이 광고형 요금제를 선택했다고 합니다. 국내에서도 네이버와의 제휴로 광고 요금제 이용자가 증가하며 광고 인벤토리가 확대되었습니다. 이에 더해 2025년부터 단가 하향 조정으로 기본 노출형 광고(non-skip)의 경우 15초 광고는 29,000원으로, 30초 광고는 39,000원으로 만나볼 수 있습니다.


넷플릭스는 광고가 없는 기존 '추가 회원(월 5,000원)'보다 저렴한, 월 4,000원에 광고가 포함된 '광고형 추가 회원 옵션'을 지난 1월 새롭게 출시하는 등 광고 비즈니스를 더욱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더해 2월에 진행한 '넥스트 온 넷플릭스' 행사에서 매주 에피소드가 공개되는 일일 예능 편성 계획을 예고하며 넷플릭스 시청의 일상화·습관화를 노리는 모습입니다. 2025년에는 전략적 제휴, 콘텐츠와 요금제 다양화 등으로 넷플릭스 광고가 어떻게 성장할지 지켜봐야겠네요.


함께 체크해보세요!🔎 넷플릭스에 대항하는 티빙의 전략은?

💡 넷플릭스가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제휴를 시작한 지 한 달 뒤, 티빙은 올해 3월 네이버 멤버십과의 제휴를 4년 만에 종료할 예정임을 알렸습니다. 티빙은 어떤 전략으로 이용자를 모으고 있을까요.


1. 애플TV+ 브랜드관 오픈, KBS와의 콘텐츠 제휴 체결

- 2024년 12월, 티빙은 '애플TV+ 브랜드관'을 론칭해 파친코 등 애플TV+의 콘텐츠를 티빙에 공개했습니다. 애플TV+가 입점한 날 기준으로 프리미엄 요금제를 이용하는 비중이 전날 대비 20배 이상 증가했다고 합니다. 올해 1월엔 KBS와의 제휴로 KBS의 명작 콘텐츠와 '킥킥킥킥' 등 현재 방영 중인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공개할 예정이라고 해요.


2. 월 4,000원대의 광고 요금제 연간 이용권 출시

- 넷플릭스가 4,000원대의 광고형 추가 회원 옵션을 출시한 데 이어 티빙도 2월 7일부터 광고형 스탠다드 연간 이용권 판매를 시작했습니다. 연 4만 9,900원으로, 월 4,000원대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3. 곧 다가오는 'KBO 시즌'에 거는 기대

- 3월, 네이버와의 제휴는 종료되지만 KBO는 다시 시작됩니다. 올해도 KBO를 독점 중계하는 티빙은 광고 상품을 다각화하고 스페셜관 DA, 쇼츠관 세로형 광고 등 신규 지면을 론칭하는 등 3월 22일 개막하는 KBO 시즌을 단단히 준비하는 모습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확인해주세요.

※ PDF 파일로 제공됩니다.




나스미디어인사이트OTT네이버카카오
목록
댓글 0

아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박승준이님의 게시글에 첫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 새로고침

박승준이

03. 063280

박승준이

03. 063412

박승준이

03. 061,4842

박승준이

03. 052570

박승준이

03. 054730

박승준이

03. 046260

박승준이

03. 041,0942

박승준이

03. 046511

김매니저

03. 044,50619

유리나

02. 283481

박승준이

02. 285932

박승준이

02. 264850

박승준이

02. 253810

박승준이

02. 255550

박승준이

02. 244610

박승준이

02. 219165

박승준이

02. 196661

박승준이

02. 194970

박승준이

02. 193901

유리나

02. 179413
목록
로그인 후 더욱 많은 기능을 이용하세요!아이보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