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광고 | 배너광고는 사이트나 홈페이지에 띠 모양의 이미지를 만들어 노출하는 광고를 말한다. 현수막처럼 생겨서 배너(banner)라고 불리운다. 배너광고의 유형으로는 두 가지가 있는데 한 가지는 타... |
밴드왜건 효과 | 유행을 쫓아 상품을 구매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
버티컬 커머스 | 버티컬 커머스 플랫폼(Vertical Commerce Platform)은 식품, 패션, 인테리어 등 특정한 카테고리의 제품만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플랫폼을 의미한다. 최근 버티컬 커머스 플랫폼이 ‘취향 소비’... |
베블런 효과 | 가격이 오르는 데도 일부 계층의 과시욕이나 허영심 등으로 인해 수요가 줄어들지 않는 현상을 의미한다. |
변환 키워드 | 변환 키워드는 자주 검색되는 오타 키워드이다. 해당 키워드로 검색하면 정타 키워드로 변환되어 검색 결과가 나타난다. |
보상형 광고 | 보상형 광고(Rewarded Advertising)는 사용자에게 상품권, 포인트, 이모티콘 등 어떤 특정 보상을 지급하는 조건으로 앱 설치나 설치 후 행동을 유도하는 광고를 말한다. |
부정클릭 | 부정클릭(Click Fraud)은 클릭당 광고비가 정산되는 검색광고 시장에서 특정 업체의 광고비가 소진되도록 악의적으로 특정광고를 클릭하는 행위이다. |
브랜드 액티비즘 | 브랜드 액티비즘(Brand Activism)이란 브랜드의 정체성을 단순히 말이나 글로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인 행동’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기업 브랜드가 마치 사람처럼 어떤 이슈에 대해 ... |
브랜드 키워드 | 브랜드검색 광고상품이 최상단에 반영될 수 있는 키워드이다.예를 들어 아이보스의 브랜드 키워드는 <아이보스>, <i-boss> 등으로 들 수 있다. |
브랜드검색 | 브랜드 키워드를 검색할 때 페이지 최상단에 노출되는 콘텐츠 검색형 광고이다. 해당 브랜드 키워드에 대해 상표권을 가진 광고주만이 광고를 집행할 수 있다. |
블루슈머 | 경쟁자가 없는 블루오션 시장에 존재하는 소비자이다. |
블루프린트 | 페이스북 '블루프린트'는 페이스북에서 공식 발행하는 자격증이다. |
비보상형 광고 | 보상형 광고와 반대로 특별한 보상 없이 앱 설치나 앱 설치 후 행동을 유도하게 하는 광고를 뜻한다. |
비즈머니 | 네이버 키워드광고에서 상품을 결제할 때 사용하는 예치금의 명칭이다. 모든 네이버 키워드광고 상품은 비즈머니로만 구매가 가능하다. |
비즈사이트 | 네이버 통합검색 결과 페이지에 노출되는 클릭초이스 노출 영역 중 하나로, 파워링크 하단에 노출된다. |
비즈캐쉬 | 카카오 키워드광고에서 상품을 결제할 때 사용하는 예치금의 명칭이다. 다음 키워드광고, DDN, 카카오스토리 광고 등의 상품은 비즈캐쉬로만 구매가 가능하다. |
비즈쿠폰 | 검색광고 상품을 결제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쿠폰이다. 이벤트 당첨이나 프로모션 등을 통해 발급된다.네이버 비즈쿠폰은 [광고시스템 > 비즈머니 > 쿠폰 관리]에서 사용 가능하다.카카... |
빅블러 |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이 급속도로 빨라지면서 산업 간 경계가 모호해지는 현상을 ‘빅블러’(Big Blur)라고 이야기한다.과거에는 업종 간의 경계가 분명했던 반면, 사물인터넷(IoT), 핀테크, ... |
상품 믹스 | 사업자가 판매하는 상품을 어떻게 구성할 것이냐의 문제다. 믹스를 결정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네 가지 요소는 ‘매출’, ‘수익률’, ‘이익’ 그리고 ‘역할’이다. 우선 매출에 크게 기... |
세부키워드 | 대표키워드가 포괄적이고 일반적인 의미의 키워드라면, 세부키워드는 보다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키워드이다. 예를 들어 `원피스`는 대표키워드이지만, `예쁜 원피스`, `66사이즈 원피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