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션 | 세션(session)은 ‘한 고객이 웹사이트에 들어와 상호작용을 하고 나가기까지 걸린 임의로 설정한 평균 시간’을 말한다. |
셀피노믹스 | 셀피노믹스(Selfinomics)는 개인(self)과 경제학(economics)을 합친 신조어로, 개인이 자신의 강점을 활용해 콘텐츠를 만들고 이를 통해 수익을 내는 경제활동을 의미한다.유튜버, 틱톡커, 인스타그... |
소셜미디어광고 |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유투브 등 소셜미디어를 이용하여 노출하는 광고를 말한다. 사회적 네트워크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파급력이 크고, 광고에 대한 반응이 실시간으로 나타난... |
소셜임팩트 | 소셜임팩트(social impact)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기업이 우리 사회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의미한다. |
소셜커머스 | Social Commerce 소셜 미디어와 온라인 미디어를 활용하는 전자 상거래를 가리키는 말이다. 국내의 소셜커머스로는 티몬, 쿠팡, 위메프 등이 대표적이다. |
소셜타이징 | 소셜타이징(socialtising)은 사회적 관계(social network)와 광고(advertising)의 합성어로, 소비자가 자발적으로 상품에 대한 광고를 제작하고 유통시키는 광고 형태를 뜻한다. 예시로 `맥도날드 빅맥... |
쇼루밍족 | 쇼루밍족(Showrooming)이란 오프라인 매장에서 물건을 살펴본 후, 정작 구매는 온라인 상에서 가격을 비교하여 저렴하게 구매하는 소비양식을 보이는 사람들을 말한다. |
쇼퍼테인먼트 | 쇼퍼테인먼트는 ‘쇼핑’과 ‘엔터테인먼트’(오락)를 합친 말로, 콘텐츠와 커뮤니티를 결합해서 몰입도 높은 쇼핑 경험을 제공하는 콘텐츠 중심의 커머스를 뜻한다.최근에는 단순히 상품... |
수익률 | 광고 혹은 마케팅의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 마케팅 비용 대비 매출의 비율을 나타낸 값이다. 광고수익률의 의미를 지니고 있을 때는 ROAS(Return On Ad Spend)라고 부르기도 한다.ROAS = (매... |
순위지수 | 순위지수(RI, Ranking Index) 또는 품질지수(QI, Quality Index)는 게재된 광고의 품질을 나타내는 지수를 의미하며, 광고 노출 순위에 영향을 미친다.네이버의 경우, 대체로 순위지수라고 하며 클릭... |
쉐도우밴 | 쉐도우벤(Shadow ban) 혹은 섀도우 배닝(Shadow banning)이란, 게시자가 모르는 사이 게시자를 제외한 모든 사람이 게시자의 콘텐츠를 보지 못하게 만드는 것을 말한다.여러 SNS 플랫폼에서 섀도우 ... |
슈링크플레이션 | 슈링크플레이션(Shrinkflation)은 `줄어든다`는 의미의 슈링크(Shrink)와 `물가 상승`을 의미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로, 제품의 가격은 그대로 유지하고 제품의 크기·중량을 줄이거나 ... |
스놉 효과 | 스놉 효과(Snob effect·속물 효과)는 특정 상품에 대한 소비가 증가하면 그 상품의 수요가 줄어드는 현상이다. |
스마트입찰 | 네이버 키워드광고(검색광고)에서 여러 개의 키워드를 일괄적으로 입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입찰 시스템이다. `희망순위 기준`과 `입찰가 기준`으로 입찰할 수 있다.희망순위 기준은 여러... |
스웨그 마케팅 | 스웨그 마케팅은 이슈가 되는 사회현상이나 유머 등을 언어유희나 패러디 등의 방법으로 가볍고 재미있게 내용을 전달하는 마케팅 전략을 의미한다.사회적인 이슈를 빠르게 캐치해 재미 ... |
스크린스태킹 | 스크린 스태킹(Screen-stacking)은 여러 디지털 기기를 동시에 사용하는 미디어 사용 행태를 의미한다. |
슬리포노믹스 | 슬리포노믹스란 수면(Sleep)과 경제학(Economics)을 합친 신조어이다. 만성적인 피로에 시달리는 현대인들이 만족스러운 수면을 위해서 비용을 지출하고 있는 현상을 일컫는다.슬리포노믹스 초... |
시즈널키워드(SK, Seasonal Keyword) | 특정 시기나 계절에 따라 조회수와 광고효과가 급상승하는 키워드를 말한다. 예를 들어, 어린이날에는 장난감, 여름에는 에어컨 등의 키워드이다. |
시즐 광고 | 시즐(Sizzle Ad)은 소리를 통해 제품 이미지를 연상시키게 하는 광고 기법이다. |
신청률 | 유입수 대비 신청수의 비율을 나타낸 값이다.신청률 = 신청수 / 유입수신청률은 홈페이지 혹은 랜딩페이지의 구성에 따라 크게 달라지므로 랜딩페이지가 얼마나 최적화되어 있는지에 대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