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로그인 중단 안내

계정으로 로그인 기능이 2023년 11월 16일 중단되었습니다.

아이보스 계정이 사라지는 것은 절대 아니며, 계정의 이메일 주소를 이용해 로그인 하실 수 있습니다.

▶️ 자세한 공지사항 확인

[중국마케팅]2025 중국 뷰티 트렌드 5가지

2025-08-12

주식회사차이커

조회수 103

댓글 0

안녕하세요! 중국 SNS 마케팅을 전문으로 하는 차이커(CH!KO)마케팅입니다.


오늘은 실제 시장 데이터 기반으로 정리한

2025 중국 뷰티 시장의 핵심 트렌드 5가지를 소개합니다.


한국 뷰티 브랜드의 중국 진출이 더 어려워진 이유는 ‘입점’이 아니라 ‘브랜딩’이 필요한 시대로 진입했기 때문입니다.

시장 환경, 소비자 니즈, 콘텐츠 소비 방식까지

모두 빠르게 바뀌고 있는 지금, ‘좋은 제품’이라는 말만으론 통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중국 현지에서 실제로 반응하고 있는 트렌드와 브랜드 전략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 C-뷰티의 약진 & 궈챠오(国潮) 트렌드

궈챠오란? ‘국가의 유행’, 즉 중국풍 트렌드를 뜻하는 단어


중국 토종 브랜드가 ‘중국다움’을 전면에 내세우며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 중국 화장품 시장의 50% 이상을 차지한 건 바로 ‘중국 로컬 브랜드’였습니다.

(전체 시장 7972억 위안 중, 로컬 브랜드 매출 4018억 위안)

​제품력 + 중국 감성 패키지 + 현지화 콘텐츠 = 소비자의 자존심을 자극한 전략적 조합


📌 브랜드 예시


▲ 화시즈



▲ 구위



▲ 마오거핑

이는 단순한 마케팅 콘셉트가 아닌 자국 브랜드의 정체성과 문화적 자신감이 결합된 브랜드 전략이며

젊은 소비자층의 감성까지 제대로 건드리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합니다.


그렇다면, 한국 브랜드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한국 브랜드가 로컬 브랜드처럼 완전히 ‘중국화’되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건 문화적 공감대를 만들 수 있는 지점을 찾는 것입니다.



▲ 중국 내 인기 한국 화장품 브랜드 : 설화수


2️⃣ 급성장 중인 남성 화장품 시장

피부관리에 눈 뜬 중국 남성들!

스킨케어는 이제 기본이고 '남자 화장품도 진지하게 고른다'는 시대가 도래했습니다.


자료: 관옌톈샤(观研天下)

▲ '22~'27년 중국 남성 스킨케어 제품 시장규모 예측


최근 몇 년 사이, 중국 남성 뷰티 시장은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 산업 규모는 131억 위안(한화 약 24조 원)으로, 2027년에는 236억 위안(약 43조 원)에 이를 전망입니다. 단 5년 만에 2배 가까운 성장이 예측되는 고속 성장 시장입니다



▲ 샤오홍슈 '남성화장품' 검색 결과



▲ '19년 기준 중국 인기 남성 화장품 브랜드


3️⃣ 실버 뷰티(Silver Beauty)의 부상

중국 시장의 또 다른 성장 동력은 ‘시니어’입니다.

최근 몇 년간 중국 내 ‘실버 뷰티(Silver Beauty)’라는 키워드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60세 이상 고령 인구가 2023년 기준 2억 9,000만 명을 넘어서며, 전체 인구의 20%를 돌파했고,

이 중 약 70%가 ‘스킨케어에 투자할 의향이 있다’는 조사 결과도 나왔습니다.

(출처: 약업신문)

실버 뷰티는 더 이상 틈새시장 아닙니다.

웰에이징, 기능성 고급 라인, 감성형 포장까지 모두 고려한 설계가 필요합니다.


▲ 50대 이상을 위한 인삼 화장품



▲ 60대 이상의 중국 인플루언서


4️⃣원료가 곧 브랜드다, ‘신원료 경쟁’ 본격화

2025년 중국 뷰티 시장에서 주목해야 할 키워드는 바로 ‘성분’과 ‘원료’입니다.

이제 소비자들은 어떤 성분이 들어갔는지에 더 집중합니다.

대표적인 신원료인 NMN(니코틴아마이드 모노뉴클레오타이드)은 ‘항노화 필수 성분’으로 떠오르며,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큰 인기를 끌고 있으며, 바쿠치올, 송이버섯 추출물 등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2021~2023년 화장품 원료 신규 등록기업의 국가 및 지역


📈 실제로 신원료 등록 수는 매년 증가 중이며, 기능성 성분 중심의 제품 출시가 중국 내에서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습니다.


5️⃣ 클린뷰티 & 가치소비 확산

이제 중국 소비자들은 ‘좋은 화장품’보다 ‘착한 화장품’을 찾습니다.

성분, 환경, 윤리까지 따지는 ‘클린뷰티’에 대한 관심이 빠르게 확산 중입니다.


특히 18~34세 여성 소비자 중심으로

✔ 민감성 피부 케어

✔ 무독성·비건 인증

✔ 지속가능한 포장과 윤리적 생산

등을 모두 고려한 가치소비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 역시 관련 기준을 제도화하며,

단순 유행이 아닌 브랜드 신뢰를 좌우하는 핵심 기준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중국 내 친환경 화장품 브랜드(해외)



중국 내 친환경 화장품 브랜드(중국)




2025년 중국 뷰티 시장은 더 빠르고, 더 세분화되며, 더 똑똑해지고 있습니다.

좋은 제품만으로는 부족한 시대. 이제는 성분, 브랜드 철학, 소비자 감성까지 아우르는 입체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차이커는 현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콘텐츠 전략부터 체험단, 브랜드 포지셔닝까지

결과로 증명되는 중국 마케팅을 함께 만들어갑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점 있으시거나 문의는 댓글로 남겨주세요 😊
좋아요 + 공유는 정보 확산에 큰 도움이 됩니다!


중국마케팅중국뷰티시장중국SNS마케팅중국브랜드전략K뷰티
목록
댓글 0

아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주식회사차이커님의 게시글에 첫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 새로고침
로그인 후 더욱 많은 기능을 이용하세요!아이보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