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이미 알고 계신 분들도 많으실 거라 생각됩니다만.
얼마 전에 경험한 내용을 통해서 스크랩기능에 대한 부분들을 좀 공유할까 합니다.
목적. 스크랩 협업을 통한 컨텐츠 전파 시 블로그에 미치는 영향
사례. 네이버 운영원칙에 위배되는 내용을 포스팅 후 해당 포스트를 본문스크랩으로 퍼간다.
과정. 1) 고품질 블로그에 네이버원칙에 위배되는 내용(P2P 홍보)을 포스팅 한다.
2) 해당 컨텐츠의 순위를 확인한다.
3) 노출 순위를 체크한다.
4) 스크랩을 한 뒤 순위 변화를 본다.
5) 스크랩을 당한 블로그와 스크랩을 한 블로그의 변화를 관찰한다.
실행 1) 고품질 블로그에 p2p 홍보글을 올린다. 키워드는 "결제없는 p2p"
2) 순위 체킹 결과 1위에 노출
3) 일정 시간이 흐른 뒤 검색 누락 (네이버 제제)
4) 문의를 통해 제제를 푼다.
5) 검색 순위 3페이지로 하락
6) 스공덧을 통해 순위를 올린다.
7) 2페이지까지 순위 상승
8) 스크랩을 한 아이디가 이용제한
9) 문의 후 아이디 제한 해제
10) 스크랩을 한 아이디 저품질 현상 (모든 검색결과 안드로메다로)
11) 저품질 당한 스크랩 아이디에서 일반 활동 진행 (활동성지수 작업 + 모바일포스팅 등)
12) 저품질 당했던 스크랩 아이디 중 일부는 상위로 복귀
네이버 문의 결과
본문 스크랩일 경우 문서 생성과 동일한 인덱싱 작업을 거친다고 함.
즉, 본문스크랩과 포스팅은 같은 작업으로 인지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그렇다면 문서를 생성하지 않고 스크랩만으로 활동성 지수를 높일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새로운 명제 도출.
테스트 진행.
스크랩만으로는 활동성 지수 상승이 되지 않는 것을 체감.
위 과정을 통해서 일단 본문스크랩일 경우에는 문서가 새로 생성된 것과 같은 인덱싱 작업을 거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구요.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이것이 뭔가 돌파구가 될 수도 있지는 않을까?? 하고 생각됩니다.
고수님들의 좋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새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