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칼 뽑았습니다만? 들었습니다만?!
안녕하세요, 마케팅칼잡이입니다.
무더위 잘 견디고 계신가요?
입추가 지났지만 아직 더위가 남아 있네요. 그래도 한풀 꺾이는 게 느껴집니다. 😊
지난번에는 확장검색 관리에 대해 이야기했었는데요,
오늘은 그 반대 개념인 제외키워드를 활용해 광고비를 절약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여러 분들은 제외 키워드 설정을 왜 하시나요?
1. 세팅한 그룹 내에 존재하는 소재와 관련성 없는 키워드라서?
2. 캠페인 목적에 맞지 않는 키워드 유입으로?
3. 소진이 많이 되고 있는 키워드지만 전환이 발생되지 않아서?
사실 제외 키워드 설정하는 이유는 위 내용 뿐만 아니라 상황에 따라 다양한 이유가 있죠
💡 데이터가 없을 때도 제외키워드를 써야 할까?
새 캠페인/그룹을 만들면 아직 데이터가 없어서 제외키워드 설정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광고비를 쓰면서 데이터가 쌓일 때까지 무작정 기다리시나요?
특정 키워드 노출을 원치 않는 게 명확하다면, 미리 제외키워드로 등록하는 게 좋습니다.
반대로, 어떤 키워드가 전환을 일으킬지 확인하려는 목적이라면 제외키워드 설정을 하지 않는 편이 낫습니다.
노출을 원치 않는 키워드를 입력 → 저장 후 닫기 클릭 → 정상 등록 여부 확인
📌 등록 제한: 최대 70개
중요한 건 제외 키워드 등록이 무한이 아니라 최대 70개까지만 등록 가능합니다.
초기 세팅 때는 문제 없지만, 광고를 오래 집행하다 보면 금방 채워질 수 있습니다.
이때는 등록 시각 기준으로 오래된 키워드를 삭제하고,
최근 유입이 잦지만 노출을 원치 않는 키워드를 추가 등록해 관리하세요.
물론 그룹이 수십개로 세분화가 되어 있다면 제외키워드 설정할 일이 많이 없을 수 있습니다
팁을 드리자면 시즌/기간에 따라 클릭이 많은 키워드가 바뀌니,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게 좋습니다.
🔍 “검색어 없는 경우 광고 노출 제외” 기능
제외키워드 등록 화면 하단에 보이는 이 옵션, 궁금하셨죠?
이미지에 기재되어 있는 내용 잘 읽어보시면 이해가 되시겠지만 안되시는 분들을 위해 쉽게 말씀드릴게요
소비자가 검색어 없이 카테고리 탐색 등 네트워크 영역을 통해 들어올 때 광고를 노출할지 여부를 설정
사용 예시:
-
소액 예산으로 불필요한 노출로 인한 광고비 낭비 방지
-
검색을 통한 유입만 노리는 경우
활성화 방법: 해당 기능을 [사용] 으로 체크하면 검색어 없이 유입되는 트래픽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 제외키워드로 광고비 절약하는 2가지 핵심
1. 광고 집행 전 사전에 예상 유입 키워드로 판단되지만 노출을 희망하지 않는 키워드를 등록하여 광고비 절약
2. 제외키워드 등록 페이지에서 검색어 없이 노출을 희망하지 않는다면 사용으로 체크
이상으로, 네이버 쇼핑검색광고 제외키워드 관리 팁을 정리해드렸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더 유익한 정보로 찾아뵐게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아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마케팅칼잡이님의 게시글에 첫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