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로그인 중단 안내

계정으로 로그인 기능이 2023년 11월 16일 중단되었습니다.

아이보스 계정이 사라지는 것은 절대 아니며, 계정의 이메일 주소를 이용해 로그인 하실 수 있습니다.

▶️ 자세한 공지사항 확인

[아이지에이웍스] 시청률 0% 시간대, 하지만 714만대의 TV는 켜져있었다

2025.07.09 09:18

박승준이

조회수 136

댓글 0


'시청률 0%’, ‘0%대 시청률’

TV 프로그램 관련 언론 보도에서 종종 등장하는 숫자입니다.

"아무도 보지 않았다"라는 표현과 함께, 해당 시간대는 종종 'Dead time’으로 간주됩니다.

하지만 정말 그 시간, 시청이 이뤄지고 있는 TV 디바이스가 없었던 걸까요?


TV AD INDEX의 셋톱박스 실측 데이터로 확인해 본 결과, 시청률 조사 방식 구조상 시청이 잘 포착되지 않는 새벽 2~5시에도 무려 수백만 대의 TV가 켜져 있었습니다.


이번 콘텐츠에서는 '실제 시청'의 흔적을 새벽 2~5시 데이터와 시청률 0%대 프로그램 기준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데이터 개요]

본 콘텐츠는 TV AD INDEX의 셋톱박스 기반 실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한 콘텐츠입니다.

- 분석 기간 : 2025년 5월

- 분석 채널 : 71개 채널

- 분석 지표 : TV 시청 디바이스 수 (광고에 1회 이상 노출된 유니크 셋톱박스 수)

- 분석 내용

: 새벽시간대 (새벽 2~5시) 채널 시청 분석

: 시청률 0%대 프로그램 시청 분석




‘Dead Time’이라 불려온 시간대, 실측 데이터로 본 TV 시청

현재의 ‘TV 시청률’은 표본조사 방식으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표본 가구 중 단 한명이라도 TV를 시청하지 않았다면, 실제로 누군가 해당 방송을 봤더라도 시청률은 0%로 나타나게됩니다. 이로 인해 실제 시청이 있었음에도 데이터에는 반영되지 않아, ‘아무도 안 본것처럼’ 보이는 착시가 발생합니다.


[예시 1. 새벽시간대 TV 시청 디바이스 수]

이런 착시로 인해, 업계 관행상 새벽2~5시를 ‘Dead Time’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이 시간대는 표본 가구의 시청이 거의 포착되지 않아, 광고나 편성 측면에서 사각지대로 여겨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TV AD INDEX의 실측 데이터를 보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2025년 5월 한 달 동안 새벽 2~5시 시간당 평균 714만대의 TV 디바이스에서 시청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기존 시청률 기준으로는 ‘Dead Time’으로 간주되던 시간대임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이렇게 많은 TV가 켜져 있었던 것입니다.





새벽2~5시, 모든 채널에 존재한 시청의 흔적

시간대 뿐만 아니라, 채널 특성에 따라서도 '시청률 0%'는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케이블 채널, 특히 소형 PP 등 소규모 채널은 상대적으로 시청 규모가 작아 표본 가구의 시청을 잘 포착하지 못합니다. 이 때문에 실제로 모든 시간대에 실제 시청이 꾸준히 발생해도 시청률이 ‘0%’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과연 실제 데이터는 어떨까요?

TV AD INDEX 데이터를 통해, 지상파, 종편, 케이블을 포함한 채널 그룹별로 시청이 잘 포착되지 않는 새벽 2~5시 시간대의 '실제 TV 시청 디바이스 수'를 분석해보았습니다.


[예시 2. 채널 그룹별 새벽시간대 TV 시청 디바이스 수]

그 결과, 모든 채널 그룹에서 새벽2~5시 시간대에도 수백만 대 이상의 TV 디바이스에서 시청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편성이 활발한 케이블 채널 그룹은 새벽 4시처럼 시청이 가장 낮은 시간대에도 400만대 이상에서 TV 디바이스에서 시청이 확인되었습니다.



[예시 3. 소형PP채널 새벽시간대 TV 시청 디바이스 수]

시청률이 자주 0%로 기록되는 일부 소형 PP 채널들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시청 규모가 작은 해외, 보도, 스포츠 채널에서도 새벽 2~5시 시간대에 약 3~5만 대의 TV 디바이스에서 시청이 확인되었습니다.




이처럼 ‘실제 TV 시청 디바이스 수’를 기반으로 한 실측 데이터는, 시청률로는 포착되지 않는 '실제 시청'의 존재를 보여줍니다.



시청률 0%대 프로그램, 실제 TV 시청 규모

시청률 0%대 프로그램은 보도에서 종종 ‘역대 최저’나 ‘사라진 시청자’와 같은 표현과 함께 다뤄지곤 합니다. 하지만 실측 데이터에 따르면, 시청률 수치만으로는 시청 규모를 모두 설명하기 어렵다는 점이 드러납니다.


[예시 4. 드라마 A의 실제 TV 시청 디바이스 수]

드라마 A는 7~12회차에 시청률 0%대를 기록하며, ‘역대 최저 시청률’라는 헤드라인으로 여러 차례 언론에 보도되었습니다. 하지만 데이터를 살펴보면, 해당 회차들 모두 평균 수십만 대 이상의 TV 디바이스에서 시청이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됩니다.




이처럼 시청률만을 기준으로 할 경우, 실제보다 훨씬 적은 시청자가 집계되어 수십만 대의 실제 시청과 광고 효과에 충분히 반영되지 못함을 알 수 있습니다.



시청률 측정 방식, 이제는 바뀌어야 할 때

현재 TV 시청률은 소수 표본 가구의 시청 여 비율을 바탕으로 산출되는 추정치입니다. 업계에서는 광고 효과나 콘텐츠 성과를 판단할 때 여전히 시청률을 가장 중요한 지표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수치는 소수 '표본의 시청 비율'에 근거한 추정치임을 고려하면,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과 다양해진 시청 행태를 충분히 설명하기에는 분명 한계가 존재합니다. 따라서, 실제 시청 규모를 보다 정확히 반영할 수 있는 실측 데이터로 시청 측정 방식을 전환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진짜 시청'을 확인하는 순간, 전략의 방향이 달라집니다.

‘Dead Time’이라 불리던 새벽 시간대와 ‘시청률 0%대’ 콘텐츠에도 실제로는 수백만 대의 TV 디바이스에서 시청이 발생하고 있었습니다. 이제는 표본 기반 시청률의 한계를 넘어, '실제 시청'을 데이터로 직접 확인하고 광고와 콘텐츠 전략에 반영해야 할 때입니다.

아이지에이웍스tv광고tv시청률tv인덱스
목록
댓글 0

아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박승준이님의 게시글에 첫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 새로고침

김매니저

12.2311,05218

김매니저

11.284,1394

김매니저

11.286,0056

유리나

11.276,97613

유리나

11.1312,2431

유리나

10.252,9104

막내운영자

07.313,1554

마미손

08.2018,77240

박승준이

07.17480

박승준이

07.17380

박승준이

07.151360

박승준이

07.142090

박승준이

07.101440

박승준이

07.093510

박승준이

07.091360

박승준이

07.046141

박승준이

07.033841

박승준이

07.026392

박승준이

07.016032

박승준이

06.301710
목록
로그인 후 더욱 많은 기능을 이용하세요!아이보스 로그인
아이보스 칼럼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