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SEO코리아입니다.
해외 진출시 필수인, 해외 seo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국내 기업이 글로벌 시장을 대상으로 SEO(검색엔진최적화)를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그리고 실질적으로 어떤 전략이 필요한지에 대해 다룹니다.
최근에는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이 늘어나면서, 그에 따라 해외 SEO의 중요성도 함께 부각되고 있어요.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구글의 검색 점유율이 절대적입니다. 하지만 네이버 중심의 국내 검색 환경에 익숙한 많은 기업들에게 해외 SEO는 여전히 낯설고 어려운 과제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구글은 전체 검색 시장의 약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따라서 해외 시장을 겨냥하는 기업이라면 구글 SEO를 포함한 글로벌 검색엔진 최적화 전략이 필수적입니다.
그렇다면 단순히 웹사이트를 외국어로 번역하기만 하면 해외 SEO가 해결될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그렇지 않습니다. 성공적인 해외 SEO를 위해서는 단순 번역을 넘어선 현지화(Localization) 전략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번 콘텐츠에서는 해외 진출을 계획 중인 기업을 대상으로, 해외 검색엔진 마케팅의 중요성과 이를 바탕으로 검색 노출을 유도하고 유기적 트래픽을 확보하며, 매출 증가와 글로벌 시장 내 안착을 이끌어내는 실질적인 실무자 입장에서의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Hreflang 태그 적용 방법
Hreflang 태그는 웹사이트가 특정 언어나 지역을 대상으로 제공된다는 사실을 검색엔진에 명확하게 전달해주는 HTML 속성입니다.
구글과 같은 글로벌 검색엔진은 이 태그를 통해 페이지의 언어와 지역 타겟팅 정보를 이해하고, 사용자에게 가장 적절한 언어의 콘텐츠를 노출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 검색하는 사용자는 영어 페이지가 아닌 일본어 버전의 콘텐츠를 자동으로 보게 되는 방식입니다.
물론 구글은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브라우저 언어, 위치 정보, 그리고 접속 도메인(예: google.com, google.fr, google.jp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콘텐츠 언어를 자동 매칭하기도 하지만, hreflang 태그를 정확하게 설정하면 노출 정확도를 훨씬 높일 수 있습니다.
WordPress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플러그인을 활용해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직접 HTML에 삽입할 경우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습니다
위 예시에서 "ar-AE"는 아랍어를 사용하는 아랍에미리트(UAE)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다는 의미입니다. 마찬가지로 "en-US"는 미국 영어 사용자, "en-AU"는 호주 영어 사용자를 뜻합니다.
Hreflang 태그는 일반적으로 다음 세 가지 위치 중 하나에 삽입할 수 있습니다:
-
각 페이지의 <head> 태그 내
-
HTTP 응답 헤더
-
XML 사이트맵 내 정의
단, 세 가지 방법 중 한 가지만 선택해서 적용해야 하며, 동시에 사용하면 검색엔진이 혼란을 겪을 수 있습니다.
해당 설정이 익숙하지 않거나 어려운 경우, 내부 개발자나 기술팀과 협업해 적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해외 SEO를 고려한 URL 구조 설계
웹사이트의 주소 체계도 해외 SEO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URL 구조가 명확하고 일관성 있게 설계되어 있으면, 구글은 해당 페이지가 어떤 언어와 국가를 대상으로 하는지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국제적인 웹사이트 운영 시에는 다음과 같은 URL 구조 전략 중 하나를 선택해 운영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1. 하위 디렉토리(Subdirectory) 방식
example.com/en-us/
example.com/ko-kr/
-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기존 도메인의 SEO 점수를 함께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기존 도메인의 SEO 점수를 함께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 하위 도메인(Subdomain) 방식
en.example.com, jp.example.com
-
다국어 사이트를 개별 서비스처럼 운영할 수 있지만, 메인 도메인의 SEO 영향력이 완전히 공유되지는 않습니다.
다국어 사이트를 개별 서비스처럼 운영할 수 있지만, 메인 도메인의 SEO 영향력이 완전히 공유되지는 않습니다.
3. 국가별 도메인(ccTLD)
example.co.kr
example.jp
example.fr
-
현지화에는 가장 강력하지만, 각 도메인을 따로 운영해야 하기 때문에 관리 부담과 리소스가 많이 듭니다.
현지화에는 가장 강력하지만, 각 도메인을 따로 운영해야 하기 때문에 관리 부담과 리소스가 많이 듭니다.
구글은 위 세 가지 방식 모두를 지원하지만, 어떤 구조를 선택하든 중요한 건 일관성 있게 적용하고, hreflang 태그와 함께 사용하는 것입니다.
아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EO코리아님의 게시글에 첫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