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로그인 중단 안내

계정으로 로그인 기능이 2023년 11월 16일 중단되었습니다.

아이보스 계정이 사라지는 것은 절대 아니며, 계정의 이메일 주소를 이용해 로그인 하실 수 있습니다.

▶️ 자세한 공지사항 확인

구글SEO 작업에 대한 전반적인 흐름

2024.11.28 21:40

inspire

조회수 981

댓글 15

안녕하세요, Inspire 입니다.

웹문서 커뮤니티에 대단히 좋은 자료들도 많고, 저도 보며 잊었던 내용들 다시한번 짚어보는 내용들도 많네요.

하나의 자료로 묶어져 있으면 많은 분들이 볼 수 있겠다는 생각에

제가 알고 있는 기본적인 내용들로 작성을 해두려합니다.

요령과 작업 방식에 대한 내용은 빼고 가이드적인 측면의 이야기만 남겨두겠습니다.

상당히 긴 글이 될 것이기 때문에 누락된 정보가 분명 있을터라, 보태고 싶은 정보들은 댓글로 작성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도메인 선택

근래 구글에 오래된 도메인이 혜택을 보는 것이 있습니다. 이런 도메인들은 경매로 얻을 수 있는데요.

오래된 도메인을 선택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구글 샌드박스(구글 검색결과에 하단 혹은 누락으로 장기간 머무르는 현상)를 금방 빠져나올 수 있다는 장점

2. 좋은 백링크를 이미 갖고 있는 도메인을 가질 수 있다는 장점

이렇게 두가지로 나뉘게 됩니다.

반면, 좋은 백링크를 갖고 있는 도메인이 순위를 빨리 점유할 수 있냐는 질문이라면 확률적입니다.

구글의 알고리즘 업데이트가 정말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순위가 잘 유지되던 사이트들도 한순간에 사라지는 경우가 많은 요즘이지만, 신규 도메인보다 빠르게 검색 노출이 되고, 순위 점유에도 유용하다는 점은 확실합니다.


도메인을 찾는 방법

해외에 있는 도메인 업체들은 대부분 경매 기능을 제공합니다. 대표적으로는 Godaddy가 있으며

이 외에도 Namecheap, Namesilo, Dropcatch, Namejet 등등 다양합니다.

이런곳들을 한번에 살펴볼 수 있는 곳이 Spamzilla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경매 사이트들의 현황과 도메인들을 한꺼번에 볼 수 있으며, DA, DR, SS 뿐 아니라

도메인의 나이, 사이트가 제공해왔던 컨텐츠의 종류까지 필터링 기능을 통해 살펴볼 수 있습니다.

또한, 갖고 있는 백링크, 예를들어 가디언(Theguardian.com), 뉴욕타임즈(Nytimes.com)와 같은 백링크를 갖고 있는 도메인을 찾을 수 도 있습니다.


도메인에 대한 조사

관심있는 도메인을 리스트화 했다면, 해당 도메인이 과거에 어떻게 운영되었는지 봐야합니다.

때때로, 사행성 또는 성인용 용도로 운영되었거나 리다이렉트 용도로 사용된 도메인들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이력을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이력 확인은 archive.org에 도메인 이력을 확인해보시면

그동안 어떻게 사용되어왔는지 이력을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또 어떤 백링크들을 갖고 있는지도 살펴봐야 합니다. 보통은 Ahrefs.com을 사용합니다.


주의사항

정말 괜찮은 도메인들은 이미 경매가 치열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비용도 상당히 비쌉니다.

너무 욕심내서 인기 많은 도메인 경매에 참여하는 것보다는 적절한 예산 안에도 충분히 좋은 도메인들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또, 경매 도메인만이 능사는 아닙니다. 신규 도메인으로도 얼마든지 테스트 해 볼 수 있습니다.


웹사이트 제작

SEO를 이해하는데에 직접 웹사이트를 제작하여 A/B 테스트 해보는것 만큼 좋은것이 없습니다.

직접 도메인도 구매해보고, 사이트 컨텐츠를 제작하면서 궁금한 것들은 자료를 찾아보고 내용도 수정해보는 과정을 통해 지식이 깊어지게됩니다. 


1. 웹사이트 제작툴 (CMS) 선택

CMS라 하면 워드프레스도 있고, 그누보드, 윅스, 아임웹 등 다양합니다. 구글 순위에는 더러 어떤 특정 CMS가 순위 상승에 유리하게 작용할 때도 있지만, 이러한 이야기는 여기서 작성하지 않겠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워드프레스를 선택하실 것을 권장드립니다. 그누보드는 이쁘게 디자인도 하려면 개발지식이 어느정도 필요하여 초보자가 접근하기 어렵고, 윅스, 아임웹은 상대적으로 제작하기 너무 편하지만 SEO라는 전반을 훑기에는 경험적인 측면에서 부족할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 같은건 안하시는게 좋습니다.


2. 디스크립션과 타이틀 설정

사이트의 특정 키워드가 있다는 가정하에 키워드를 포함하여 디스크립션과 타이틀을 작성해야 합니다.

워드프레스를 쓴다는 가정하에 Yoast, Rank math,AIO 이렇게 3개중에 선택하시면 됩니다.

개인적으로는 Yoast, Rank math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하실것을 권장드립니다.

타이틀과 디스크립션을 작성할 때 키워드만 때려넣는 식도 상관없지만, 가급적 문장 형식으로 가독성 있게 작성하실 것을 권장드립니다. 결론적으로는 이게 더 효과를 볼 때가 있습니다.


3. Silo 사이트 구조 만들기

Silo 구조란 관련성 있는 컨텐츠들을 카테고리화 시키는 작업으로써 제 기억상 2006년도부터 이슈가 된 개념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용자 뿐 아니라 구글에게도 빠르게 컨텐츠를 찾게 도와주는 구조입니다.


말이 거창하지 관련 있는 주제들을 카테고리안에 넣는다고 보면 되는데요.

워드프레스의 경우 영구주소 설정에서 /category/post 설정을 통해 관련 주제들을 카테고리에 묶을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스포츠의 경우에는

골프(카테고리)

 - 골프장

 - 골프 장비

 - 골프 경기


이런식으로 한데 묶는 구조를 만드는것이죠. Silo 구조의 응용버전으로는 피라미드 버전도 있습니다.


4. 컨텐츠 작성

여기서 말하는 컨텐츠는 블로그도 될 수 있고, 비지니스 홈페이지의 컨텐츠를 통칭합니다.

컨텐츠를 작성할 때 주의해야 할 것들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이 방법이 제 생각에는 네이버 블로그에도 상당히 유용하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최근에 성형외과 거래처가 생겨서 심심풀이겸 거래처에게 어드바이스할 겸 네이버 블로그를 시작했는데, 검색량이 꽤 있는 키워드들도 글이 몇개 없는 블로그인데 최상단에 들어가더라고요.


  • 핵심 키워드를 주어로 사용하는것을 되도록 주의하세요.

예전에는 핵심 키워드를 주어로 사용하면서 컨텐츠를 작성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예를들어 '남성 영양제' 가 메인키워드라고 하면 '남성 영양제를 추천드리는 이유는'과 같은 경우를 말합니다.

예전 알고리즘에서는 이게 상관이 없었지만 업데이트가 점점 되면서 메인키워드를 주어로 사용하는 경우, 불리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것' 또는 다른 키워드나 대체 단어를 통하여 최대한 핵심 키워드의 빈도수를 낮춘다는 마인드로 작성할 것을 권장드립니다.

구글 로봇은 이제 알아서 그안에 있는 단어들을 조합하여 노출시키고 있고, 분명 컨텐츠 작성하며 핵심 키워드들은 자연스럽게 들어가기 때문이죠.


  • 핵심 키워드를 억지로 띄어쓰기 하지마세요.

가끔 이런 경우를 네이버 블로그에서 많이 보게 됩니다. 예를들어 '남성영양제 를' 과 같이 키워드와 조사를 띄어쓰는 경우를 말합니다. 자연스럽게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 이미지의 Alt text에 핵심 키워드를 우겨넣지 마세요.

이미지의 alt text는 이미지의 설명글로 예전에는 이곳에 핵심 키워드를 넣는것이 바람직했었으나, 지금에서는 이것도 키워드의 과잉 사용이라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내부 또는 외부링크를 이용할 때에는 키워드 또는 단어보다는 문장 형식에 링크를 만드세요.

내부링크는 컨텐츠 간의 관련도를 높이고 이 관련성은 사이트의 권위와도 연결됩니다. 또한 이용자에게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도와주기도 합니다.

이런 내부/외부링크는 단어보다는 문장형식으로 이용하는것이 요즘 추세입니다. 예를들어,

1. 한국의 대표적인 검색포털인 네이버 이런 경우는 키워드에 링크를 넣은 경우입니다.

2. 한국의 대표적인 검색포털인 네이버 이런 경우는 문장에 링크를 넣은 경우입니다.

최근에는 2번 형식으로 내부 / 외부 링크를 넣는 것이 좋습니다.

이 방법은 백링크에도 해당이 됩니다.


  • 주제에 집중하여 컨텐츠가 작성되야 합니다.

예를들어 '남성 영양제를 추천하는 이유'라는 소주제가 있다면, 대부분의 글들이 홍보적인 뉘앙스로 마무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보다는 '이유'에 초점을 맞춰서 작성하실것을 권장드리며 비교가 필요한 경우에는 테이블 / 나열이 필요할때는 리스트 형식을 고루 써가며 작성하는 것이 요즘 트렌드입니다.


  • EEAT에 해당되는지 확인하세요.

EEAT가 해당되는 분야가 있고 없는 분야가 있습니다. 평범한 블로그 형식이라면 EEAT에 맞춰서 작성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단, 이에 해당하는 분야라면 전문적인 내용이 작성되어야 하며 장점과 단점을 구분지으며 서술하는것이 추세입니다.


* 이미지 제작 관련

저는 빠르게 사이트를 만들어서 다수의 사이트를 만드는 작업을 합니다. 디자이너를 따로끼면 지출이 상당하기 때문에 제가 포토샵 아니면 망x보x로 만들기도 하는데요.

여기에 EXIF 정보들이 남아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XIFER를 이용해서 EXIF 정보를 모두 수정합니다.

이런것까지 필요한가 싶을때도 있는데, 위안삼아 합니다.


백링크 만들기

백링크는 보통 해외 외부 업체를 통해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국내에서 자체적으로 만드는 업체도 있지만 이용해본 결과 GPT 컨텐츠라서 질이 매우 떨어집니다.

백링크는 검색 노출과 순위 상승의 핵심입니다. 또 여기에 토다시는 분이 있을것 같아서 여기 웹문서 커뮤니티나 구글 트위터만 둘러봐도 충분히 정보가 나옵니다.

국내 크X에서 활동하고 있는 대부분의 백링크 업체를 크게 3개로 나눠볼수 있습니다.

1. 프로그램 돌리는 업체

   (Money Robot, Ranker X, GSA, SAPE, ScrapeBox 등등..)

2. 의뢰 받아서 해외로 넘기는 업체

3. 자체 GPT PBN 돌리는 업체


1번과 3번은 지금 상황에서 악영향만 줄 뿐입니다. 3번의 경우 Tier 작업에서는 어느정도 유효할 수 있으나 이마저도 위험할 수 있습니다.


그럼 해외로 눈길을 돌려야 하는데 대표적인 플랫폼이 Fiverr, Blackhatworld 이 두개와 기타적으로는 Legiit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이를 이용할때 반드시 다음과 같이 이용해야 합니다.

1. 샘플 리스트를 전부 받아서 체크하세요.

2. 발행할 글은 왠만하면 직접 작성하거나 작가를 통해서 작성하세요.

3. 최대한 나의 시장의 주제를 다루고 있는 트래픽 높은 Guest post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4. 다음 비율과 같이 앵커텍스트를 만드세요.

    도메인 주소 - 50%

    사이트 브랜드 이름 - 30%

    핵심 키워드 - 5%~10%

    서브 롱테일 키워드 - 10%

5. 일주일에 10번 꼴로 백링크를 만드세요.


이제는 단순히 의뢰만 하고 손놓고 있을게 아니라 대행작업자의 일거수일투족을 다 체크해야합니다. 가만히 있으면 Delivery day 다되어서 한번에 만들어버리는 경우들이 있어 사이트 다 날려먹을수가 있습니다.

참고로, 진짜배기 좋은 사이트 갖고 있는 애들은 광고에 없고 최대한 구글링으로 찾아서 1:1로 컨택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2023년 그리고 2024년 현재까지 사이트만 한 200개 찍어낸것 같습니다. 별별 테스트를 다해보았는데, 위의 방법대로 하는게 제일 결과가 좋습니다.


알고리즘 업데이트 될때마다 회사로 돌아가는 프리랜서가 수두룩해지는게 구글SEO 시장입니다.
또, 알아듣지 못하는 영어써가며 설명해대는 업체는 상대하지 않는게 전 맞다고 봅니다.


클라이언트의 현재 상황과 미비한것들 필요한것들을 바로 짚어낼 수 있는 능력도 없는채
과거에 젖어 '백링크만 걸면 됩니다'라는 말만하거나, 'AI 오니까 구글버리세요' 라며  회피형 인간이
해외에도 두명중 한명꼴로 있는 상황입니다.


적다보니 예전에 제가 많은 조회수 받았던 글과 겹치는 내용들이 많아 참고삼아 보시라고 남겨둡니다.

(현재와 다르게 흘러가는 것들이 많으나, 읽어보시다가 참고될만한 정보가 있으면 싶네요.)

https://www.i-boss.co.kr/ab-6141-41408


제가 이 글을 몇일전에 적어놓고 저장했다가 너무 길어질것 같아 지쳐서 여기까지만 적겠습니다.ㅎ..

SEO구글seo최적화
목록
댓글 15
댓글 새로고침
로그인 후 더욱 많은 기능을 이용하세요!아이보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