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라서 하자(흠)가 있는 물건(동산 및 부동산을 포함한 모든 물건)을 팔았다면 이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하는데, 이를 하자담보책임이라 한다. 단, 소비자가 물건을 살 때 이미 물건에 하자가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면 하자담보책임을 판매자에게 주장할 수 없다.
판매자의 하자담보책임이 인정되는 경우라면 소비자는 상인 판매자에게 경우에 따라 물건값을 깍아 달라고 하거나, 손해를 배상하라고 하거나, 계약을 해제해 달라고 충구할 수 있다.
계정으로 로그인 기능이 2023년 11월 16일 중단되었습니다.
아이보스 계정이 사라지는 것은 절대 아니며, 계정의 이메일 주소를 이용해 로그인 하실 수 있습니다.
2007.12.21 19:54
좋아요 0
조회수 3,537
댓글 0
세계 최고 광고제 칸의 인사이트, 놓치지 마세요.
브랜드그로우
롯데칠성도 데상트도, 요즘 브랜드는 어떻게 공식 쇼핑몰을 리뉴얼할까?
NHN커머스
요즘 사랑 받는 AI 영상 사례와 특징 모음집.zip
videocon
애플에게 배우는 설득의 기술
플랜브로
네이버-쿠팡의 새 경쟁 구도, ‘무료반품’
윈들리팀
이 브랜드 다들 알죠? 베리시가 유명해진 이유
소마코
아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신용성님의 게시글에 첫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