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은 최근 유튜브 숏츠와 인스타그램 릴스, 틱톡 등에 AI 영상의 비중이 눈에 띄게 늘었다는 것을 체감하고 계신가요? 저는 아주 많이 체감하고 있는데요. 기존에는 직접 제작한 그래픽 영상에 자연스럽게 목소리를 입히는 AI 보이스를 사용한 영상이 많았는데, 최근에는 AI로 자연스럽게 영상을 제작한 케이스가 많습니다.
AI 영상은 자연스럽지 않고 인조적인(?) 티가 난다는 편견을 없애고 있는 요즘인데요. 오늘은 요즘 유튜브에서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AI 영상의 사례들과 특징을 소개해보겠습니다. 이 아티클을 읽어보시면 사례들을 관통하는 하나의 주제가 있다는 것을 알게되실거에요!
유리과일 ASMR : 시청각적 몰입
유튜브 숏츠를 통해 자주 보이는 유리과일을 자르는 ASMR 영상입니다. 유리과일 ASMR 영상의 원조는 한 틱톡커입니다. ASMR은 팅글을 유발하는 소리가 매력적인 영상인데, 혜성처럼 나타난 이 틱톡커는 진짜 유리를 자르는 소리를 완벽하게 재현한 영상을 제작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실제 하지 않기에 상상하기 어려웠던 유리 과일을 써는 영상을 구현함으로써 청각+시각을 모두 만족시키면서 완벽하게 영상에 몰입을 시켰어요.
묘하게 중독성이 있는 영상이기에 숏츠에서 발견하면 시간이 가는지 모르고 유리과일 ASMR 영상을 보고 있게 됩니다. (알고리즘에 지배당하게 돼..) 사람들이 좋아하는 영상류이기에 많은 업로더들이 양산형으로 비슷한 숏폼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유리과일 뿐만이 아니라 금으로 버터를 만든듯한 금버터, 슬라임 과일 등등 최근 시청각적 몰입을 유도하는 숏폼이 대세입니다. 이 영상들은 구글 veo3를 통해 만들어진 AI 영상인데요. 프롬프트를 입력해서 만드는 비교적 간단한 영상이기에 많은 업로더들이 제작해왔습니다. (최근 변경된 유튜브의 AI콘텐츠 수익 제한 정책으로 앞으로의 상황은 변할 것 같네요!)

AI ASMR 영상을 접한 유저들의 반응은 주로 두 가지입니다.
- 소리가 너무 중독성 있다
- AI영상인데도 어색하지 않고 리얼하다
이 두 가지 포인트가 바로 많은 사람들이 유리과일 ASMR 영상에 몰입하는 이유입니다. AI이지만 AI같지 않고 실제로 존재하지 않지만 ‘진짜 같음'에 흥미 포인트가 있는거죠!
이런 '진짜같음' 포인트의 연장선상에서 유리 과일처럼 실제 하지않는 음식을 만들어 AI 먹방(?)을 따라하는 콘텐츠도 인기입니다. 최근 요리&먹방 크리에이터 사이에서 유행인 ‘용암 먹방’입니다. 마치 용암을 먹는 듯한 영상이 “AI로 만든 영상인가?” 착각을 불러 일으키는 것이 특징이에요.
정서불안 김햄찌 : 찐공감과 팬덤구축
AI로 제작된 영상들 중 최초이자 유일하게 광고를 받은 채널로 유명한 ‘정서불안 김햄찌’ 채널입니다. 현재 구독자 42만명으로 이미 실버 버튼을 받았고, 점점 더 구독자가 늘고 있습니다. 김햄찌 채널의 매력은 무엇이길래 AI 영상인 것을 알면서도 많은 사람들이 열광하고 있는 것일까요?
가장 큰 이유는 찐공감 콘텐츠라는 것입니다. 김햄찌 채널의 영상들은 흔한 직장인들이 경험할만한 에피소드와 느낄 수 있는 감정들을 다루고 있어 김햄찌에 나를 대입하는 등 찐공감을 느끼게 합니다.
최근 숏츠, 릴스에 많이 보이는 양산형 AI와는 다르게 실제 목소리를 녹음하여 콘텐츠를 제작하기에 영상의 질이 굉장히 높습니다. 탄탄한 스토리와 감정 설계가 함께 이루어지기에 시청자들이 더욱 몰입할 수 있어요. 김햄찌 채널은 이러한 장점들을 무기로 팬덤을 구축하였기에 AI 영상 채널 최초로 광고까지 받을 수 있었다고 보여집니다.
AI 사진 복원 : 스토리와 감동부여
최근 유튜브 숏츠를 통해 많은 분들이 시청하셨을 독립운동가들의 생전 사진을 AI로 복원한 영상입니다. 해당 채널은 유관순 열사를 비롯한 독립운동가 및 위인들의 사진을 AI를 이용하여 활짝 웃는 모습으로 복원하고 있습니다. 영상을 시청한 사람들은 ‘눈물 난다’, ‘감사하다’, ‘가슴이 아프다’ 등의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해당 AI 영상들은 앞선 사례들과는 다르게 AI로 제작되었다는 것을 확실하게 알 수 있다는 것이 차이점인데요. 그럼에도 많은 조회수와 폭발적인 반응이 있는 이유는 실제하지 않기에 느낄 수 있는 ‘감동’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제 세상에 없기에 더욱 보고 싶은 사람을 AI 기술을 통해 다시 만나는 것은, 그 자체로 스토리를 느낄 수 있는데요. AI 복원 영상은 많은 사람들에게 울림을 주면서 몰입하게 하는 포인트를 가지고 있기에 AI 인것을 알지만 계속 영상을 시청하게 됩니다.
최근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을 통해 사랑받는 AI 영상 콘텐츠 사례들과 특징을 소개해보았는데, 이 사례들을 관통하는 한 가지 포인트를 찾으셨나요? 바로 몰입입니다.
모든 영상 콘텐츠엔 몰입이 필요하지만, 특히 AI 영상은 '불쾌한 골짜기' 를 피해야하기에 몰입을 할 수 있는 포인트가 콘텐츠의 흥행을 결정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에요. 타겟이 공감할만한 스토리와 더 자연스럽고 시선이 갈 수 있는 영상 퀄리티가 있어야 AI 영상에 더 몰입할 수 있습니다.
아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videocon님의 게시글에 첫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