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와 경기침체로 유통업계가 흔들리고 있습니다.
소비 심리는 얼어붙었고, 오프라인 유통업체들은 매출 부진과 매장 축소라는 위기를 겪고 있죠.
최근 홈플러스의 회생절차 신청은 대형마트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유통 전반의 변화를 다시 한번 보여주는 사건이었습니다. 온라인 쇼핑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오프라인 매장의 입지가 점점 줄어들고 있는 가운데 예외를 보인 곳이 있습니다.
그 이름 다이소.
다이소의 연매출은 2024년 4조 원 돌파가 예상되며, 매장 수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저렴한 가격에 다양한 상품을 제공하면서도, 새로운 트렌드를 빠르게 반영해 소비자들의 기대감을 높이는 것이 다이소의 강점이죠.
출처: 로플랫 <다이소, 유통업계를 흔들다> 리포트
지난 해 다이소 방문객을 대상으로 매장 유형별 방문 패턴, 시즌별 방문자 증가율, 주요 소비자 특성, 방문 거리 및 시간대별 변화 등을 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하여, 소비자들이 언제, 왜 다이소를 방문하는지를 조명했습니다.
📊 리포트 미리보기
1️⃣ 다이소 일자별 방문자 수
출처: 로플랫 <다이소, 유통업계를 흔들다> 리포트
다이소의 성장세는 숫자로도 분명하게 나타납니다. 2023년 대비 2024년 다이소 방문자는 약 59% 증가하며, 꾸준한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습니다.
소비자들은 다이소의 특정 제품이 온라인에서 화제가 되면 직접 매장을 방문해 실물을 확인하려는 경향이 강합니다. SNS에서도 다이소 인기 제품들이 자주 언급되며, "이거 실제로 보려고 다이소 갔다", "SNS에서 본 신제품 찾으러 갔는데 품절" 같은 반응들이 꾸준히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가격 대비 높은 품질로 주목받은 화장품이나 한정판 굿즈들은 빠르게 품절되며, 소비자들의 방문을 유도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다이소에 방문자 데이터가 극단적으로 떨어지는 날이 있었는데요. 바로 설날과 추석. 이는 일부 매장을 제외하고 다이소가 휴무를 하기 때문이며, 명절 이후에는 '쇼핑 수요'가 몰리며 방문자 수가 다시 급격히 회복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저는 다이소가 365일 영업하는 줄 알았어요😳)
2️⃣ 다이소를 더 많이 방문하게 만드는 요인은?
출처: 다이소
다이소는 대체로 연중 꾸준한 방문이 이루어지지만, 특정 시기에 방문자 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패턴이 반복적으로 나타납니다. 이러한 패턴을 만드는 것은 바로 다이소의 다양한 시즌 상품 때문인데요.
봄봄시리즈(3월), 가정의달 기획전(5월), 추석용품 기획전(9월), 크리스마스 시리즈(12월) 등 다양한 기획전과 시즌 상품들이 적극적으로 출시되며, 소비자들의 발걸음을 이끌고 있습니다.
특히, 연말에는 크리스마스·파티용품 수요가 몰리며 방문자 수가 연중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3️⃣ 다이소 매장이라고 다 같은 건 아니다?
출처: 로플랫 <다이소, 유통업계를 흔들다> 리포트
공격적인 점포 확대에 나선 다이소.
대형상권부터 골목상권, 심지어는 대형마트, 아울렛 등의 대형상점 안에도 다이소가 입점해있습니다.
상권위치에 따라 다이소를 대형매장(대형상권 위치), 동네매장(주거지역, 동네상권 위치), 입점매장(마트, 아울렛 등 입점)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해 방문 흐름을 분석했더니 매장별로 방문자 증감율이 달랐는데요.
다이소 매장 유형별 방문 분석 등 더 자세한 내용은 로플랫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플랫님의 게시글에 첫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