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로그인 중단 안내

계정으로 로그인 기능이 2023년 11월 16일 중단되었습니다.

아이보스 계정이 사라지는 것은 절대 아니며, 계정의 이메일 주소를 이용해 로그인 하실 수 있습니다.

▶️ 자세한 공지사항 확인

[8월 20일 마케팅 뉴스클리핑] 더 정교해진 AI 이미지, 놀이와 마케팅까지 확산 외

2025.08.20 08:00

운영보스

좋아요 7

조회수 541

댓글 0



1. 더 정교해진 AI 이미지, 놀이와 마케팅까지 확산

최근 AI 나노 바나나 피겨가 열풍을 일으키며 SNS 놀이 문화와 마케팅 활용으로 확산되고 있다. AI를 이용한 픽셀아트 캐릭터 변환, 극사실주의 모델 생성 등이 트렌드가 되고 있다. 글로벌 기업들도 이미지·영상 AI에 투자하면서 시장은 2030년까지 연평균 17.4% 성장할 전망이다.

 


 

2. 라인, 일본 디지털 광고 채널 점유율 1위

센서타워가 발표한 리포트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일본 디지털 광고 지출은 약 4조 8600억 원으로 집계됐다. 광고 노출은 1조 3천억 회에 달했으며, 라인이 48%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다. 인스타그램과 유튜브가 뒤를 이었으며, 게임·엔터·쇼핑·교육·구직 업종이 전체 지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3. CGV, 스크린 광고와 커머스 잇는 ‘팝딜타임’ 선봬

CGV가 스크린 광고와 커머스를 결합한 제휴 마케팅 ‘팝딜타임’을 시작했다. 영화 시작 전 60초 광고 동안 브랜드 영상과 함께 단독 쇼핑 혜택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첫 협업은 익스트림 브랜드로, 광고에서만 제공되는 QR코드를 통해 15% 추가 할인쿠폰을 받을 수 있다.

 


 

4. 카톡 ‘브랜드 메시지’ 논란, 개인정보 침해 vs 편리한 광고

카카오가 5월 시작한 기업 광고 서비스 ‘브랜드 메시지’를 두고 개인정보 침해 논란이 커지고 있다. 광고주 제공 전화번호를 카톡 계정과 무단 매칭해 동의 없는 광고를 보낸다며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으로 신고됐으며, 카카오는 이미 동의받은 정보 전송일 뿐 법적 문제없다고 반박했다.

 


 

5. 역성장 오프라인 유통… 이커머스 쏠림 심화

상반기 오프라인 유통 매출이 코로나19 이후 처음 역성장하며 이커머스 쏠림이 더 심해졌다. 온·오프라인 성장률 격차는 2023년 5.1%p, 2024년 11.9%p, 2025년 상반기 15.9%p로 확대됐다. 올해 1~6월 오프라인 매출은 전년 대비 0.1% 감소했으나 온라인 매출은 15.8% 증가했다.

 


 

6. 구글, 정부 광고 수주액 4년 새 86% 폭증

구글의 정부 광고 수주액이 최근 4년간 86% 증가하며 정부 광고 시장을 사실상 독식하고 있다. 구글의 정부 광고 수주액은 2020년 380억 원에서 2024년 708억 원으로 급증, 정부 광고 예산의 5.4%를 차지했다. 정부와 지자체가 홍보 성과를 부각하기 위해 유튜브 광고를 집중 집행한 결과다.

 


 

7. 네이버 크림, 중고 탭 신설로 명품 리세일 본격 확대

네이버 크림이 부티크를 빈티지로 개편하고 중고 탭을 신설하며 명품 리세일을 강화했다. 샤넬·에르메스부터 프라다·발렌시아가까지 라인업을 확대하고 롤렉스 등 시계 카테고리도 추가했다. 거래액은 전년 대비 588% 급증했으며, 이용자 71%가 2030세대였다. 하반기엔 오프라인 매장도 연다.

 


 

온라인마케팅 포털, 아이보스

[매일 카톡으로 뉴스보기] www.i-boss.co.kr/ab-5545-62

목록
댓글 0

아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운영보스님의 게시글에 첫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 새로고침
로그인 후 더욱 많은 기능을 이용하세요!아이보스 로그인
아이보스 칼럼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