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로그인 중단 안내

계정으로 로그인 기능이 2023년 11월 16일 중단되었습니다.

아이보스 계정이 사라지는 것은 절대 아니며, 계정의 이메일 주소를 이용해 로그인 하실 수 있습니다.

▶️ 자세한 공지사항 확인

광고 매체 Gross vs. Net 거래 방식과 계산식 총정리 - 10년차도 헷갈려요!

2025.01.07 11:27

SeulkiK

조회수 1,053

댓글 2

마케터 단톡방에서 자주 모이는 질문, “Gross or Net 거래일때 어떻게 해요?”


이상하게도 여러번 접해도 낯설더라고요. 오늘 저도 더 헷갈리지 않게 정리해보았습니다. 틀린 점이 있다면 말씀주세요. :)


광고 집행시

[ 매체사 - 미디어 랩사 - 대행사 - 광고주 ]로 이어지는데요. 미디어 랩사와 대행사는 매체 집행을 대행해주는 수수료를 받게 됩니다.

*이 중 랩사 또는 대행사가 간혹 생략되기도 합니다.




매체비에 수수료가 이미 포함되어 있는 지에 따라 구분할 수 있죠.

⚫️Gross 거래: 수수료가 이미 포함되어 있음 → 대행사/랩사는 매체사에 수수료를 청구함

: 브랜딩 목적의 TV, 옥외광고, 집행 전에도 단가가 고정적인 디지털 광고 (일 독점, 패키지 상품 등)

🔘Net 거래: 수수료가 포함되어 있지 않음→ 대행사/렙사는 광고주에 수수료를 청구함

: 퍼포먼스 목적의 셀프 서빙, 프로그래매틱 등 집행 중 단가가 유동적인 디지털 광고
* 이 매체 특성 구분은 '경향성'에 따라 자의적으로 구분한 것이니, '이런 매체는 Gross이어야 해!'로 해석하시면 안됩니다! 실제로는 이런 경향성과 다른 예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매체비가 100만원, 수수료가 대행사 20%라면

⚫️Gross:

. 매체사 → 대행사 → 광고주

화살표 위치에 100만원씩 2번 세금계산서 청구

. 대행사 → 매체사

20% 인 20만원 세금계산서 청구 (백마진 개념)

🔘Net:

. 매체사 → 대행사

순수 매체비인 80%, 80만원만 청구

. 대행사 → 광고주

매체비 80만원 + 수수료 20만원(20%) = 100만원 청구

이 때 80만원에 대한 수수료 20만원을 구할 때 실수가 많아요.


[Net 거래의 수수료를 구하는 공식]

❌ 80만원 x 20% = 16만원

🅾️ 80만원 × [20% ÷ (1 - 20%)] = 20만원

즉 매체비에 수수료를 곱하는 것이 아니라,

수수료 = 매체비 × [수수료율 ÷ (1 - 수수료율)]

이어야 하는 거죠. (왜 헷갈리는지 아시겠죠? 😅)


Net 거래시 계산이 필요할 때가 한번 더 있습니다. 바로 Gross 거래만 하는 매체사에 Net 거래를 강요(?)해야 할 경우죠.

예를 들어 Gross 광고비가 100만원이어 수수료 20%가 대행사에게 지불될 예정이라고 한다면 광고주 쪽에서

“대행사에는 이미 수수료를 저희가 따로 지급하니, 20%를 지급하지 말고 광고 송출량에 얹어 주세요.”

라는 요청을 하게될 수 있습니다.


이 때 실제 집행될 매체비는

🅾️ 100만원 x (1+20%) = 120만원

이 되게 됩니다.

즉 [ 매체비 x (1+수수료율) ]이 실 매체비가 되는 것이죠.


* 타 채널에 본 내용을 올렸을 때, 돌려받은 20만원의 돌려받은 수수료 5만원도 매체 집행비에 더 얹어야한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이 때는

매체비 + (매체비x수수료율) + (매체비x수수료율)x[수수료율 ÷ (1 - 수수료율)]
100만원 + 20만원 + [20만원x(20%÷80%)] = 125만원으로 계산됩니다.


⚠️대행사에 따로 지급될 수수료 대신 매체 송출량을 얹는 것이기에 매체사는 대행사에 100만원만 청구하게 됩니다.

매체비의 규모와 관계 없이 매체비는 매체비대로, 수수료는 연간 고정 fee로 지급하는 광고주/브랜드의 경우 간혹 이런 집행 방향을 요구하기도 해요. 흔치 않고 협조해주지 않는 매체사도 간혹 있죠.



각 거래 방식의 장단점

⚫️ Gross: 일반적인 대행사/렙사의 수수료율이 알려져 있어 투명한 수수료율 관리가 가능

. 단점: 간혹 매체사 세일즈 프로모션 등에 따라 대행사/렙사에 더 높은 수수료를 지급할 때가 있음. 드물지만 이 부분은 광고주가 알기 힘든 영역

🔘 Net: 실제 매체비에 대행사/렙사가 수수료를 얹는 방식이어 유연한 수익 구조가 가능

. 단점: 계산하는 사람이 늘 헷갈린다. 요즘은 매체사의 세금계산서를 증빙으로 필수 요구하기 때문에 어차피 대행사/렙사에서 수수료율을 마음대로 조정할 수 없음


광고주 입장에서는

⚫️ Gross 거래는 비교적 정산이 간단한 만큼 정산에 유의하기 보다는 빠른 부킹, 선점이 필요한 브랜딩 지면인 경우 간편하게 구매하고

⭕️  Net 거래는 정산이 틀리지 않도록 유의하고, 효율이 중요한 매체 지면의 실제 수수료율을 투명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한 부분이겠네요.


💬 정정이 필요한 부분에 꼭 의견을 더해주세요!

광고비광고비용광고대행광고매체
목록
댓글 2
댓글 새로고침
로그인 후 더욱 많은 기능을 이용하세요!아이보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