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로그인 중단 안내

계정으로 로그인 기능이 2023년 11월 16일 중단되었습니다.

아이보스 계정이 사라지는 것은 절대 아니며, 계정의 이메일 주소를 이용해 로그인 하실 수 있습니다.

▶️ 자세한 공지사항 확인

[중국마케팅] 중국판 네이버 플레이스, 따종디엔핑!

2024.05.16 10:06

주식회사차이커

조회수 223

댓글 0

안녕하세요! 중국 SNS 마케팅을 전문으로 하는 차이커(CH!KO)마케팅입니다

중국의 경우 구글맵, 네이버, 유튜브 등 일반적으로 글로벌하게 사용되는 검색엔진을 사용할 수 없다는 점에서 마케팅에 제약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국에서 주로 사용하는 메인 서비스 플랫폼을 공략할 필요가 있는데요. 그중, 라이프 서비스 플랫폼으로 대표되는 따종디엔핑은 우리나라의 네이버 플레이스 비슷한 역할을 하는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월간 순수 이용자 수만 4억 7천만 명이 넘는 중국 최대 규모의 생활 서비스 리뷰 플랫폼 따종디엔핑을 소개합니다.


-------------

Ⅰ. 따종디엔핑(大众点评) 소개

따종디엔핑(大众点评)의 명칭을 직역하면 ‘대중이 평가한다’는 뜻입니다. 중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생활 정보 플랫폼이면서 사용자 리뷰에 기반한 신뢰도 있는 콘텐츠를 다루고 있습니다. 따종디엔핑 애플리케이션에는 미용, 웨딩, 쇼핑, 맛집, 숙박, 교통수단의 예매 그리고 애완동물과 육아 카테고리까지 상당히 다양한 분야의 정보를 다루고 있습니다. 또한 오프라인 매장과 전시의 경우 방문 후기 형식의 사진이나 동영상을 업로드하여 소비자들의 평가를 한눈에 확인할수 있습니다. 


따종디엔핑은 온라인과 요식업을 잘 융합한 대표적인 애플리케이션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2010년에는 각종 식당의 할인 쿠폰을 선보이거나 할인 이벤트를 열어 신규 이용자를 유입 시켰습니다. 2011년에는 사용자들의 평가를 유도하면서 일반적인 할인 쿠폰 증정 외에도 오프라인 상점을 직접 방문 후 평가 시 상품권이나 상품을 증정하며 규모를 점점 늘려갔습니다. 그 결과 따종디엔핑의 이름답게 대중이 평가하는 플랫폼, 대중의 평가를 기반으로 성장하는 플랫폼이 되었습니다. 소비자들의 의견을 모으고 공유하면서 입소문이 퍼지기 시작하며 따종디엔핑의 이용자 수가 증가했고 대중화에도 성공하였습니다. 기존의 쇼핑, 식사, 레저 등 각기 다른 플랫폼으로 검색하고 정보를 얻었던 소비자들은 따종디엔핑을 통해 한 번에 검색이 가능하도록 편리하게 바뀌면서 큰 호응을 얻게 된 것입니다.


Ⅱ. ​중국인들의 따종디엔핑 사용법

중국 최대 규모의 생활 서비스 리뷰 플랫폼 따종디엔핑은 중국의 대중적인 애플리케이션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약속 장소를 정할 때 따종디엔핑으로 음식점을 검색한 뒤 사회공유망서비스(SNS)를 통해 관련 페이지를 공유하는 것이 일반화되었습니다.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항목을 카테고리별 세분화 하였고 필요에 따라 위치, 가격, 평점, 최신 순 등으로 나열해 검색할 수 있는 기능도 있습니다. 중국인들은 따종디엔핑이 제공하는 상세 페이지를 통해 업체의 메뉴와 평균 소비가격, 매장 위치뿐 아니라 해당 음식점의 평점, 배달 가능 여부, 전화번호, 현재 이용 가능한 할인쿠폰, 사람들의 후기까지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나의 위치에서 식당까지 거리가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승용차, 대중교통, 자전거, 도보로 이용 시 찾아가는 길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어서 여행객들에게 필수적인 애플리케이션입니다. 


​따종디엔핑은 해외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종디엔핑 앱을 통해 홍콩과 대만 지역부터 아시아, 유럽, 북미 등 대륙별 대분류 및 국가별 소분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중국인들은 외국에서도 따종디엔핑을 통해 방문지를 선정하고 있습니다. 만약 한국을 설정할 경우 한국 전체, 서울, 제주도, 부산, 경기도, 수원 등을 대표적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총 21개 도시가 등록되어 있습니다. 서울을 검색하면 서울시에 등록된 맛집, 의류 매장, 카페, 가볼만한 관광명소 등 다양한 스팟들이 있으며, 중국인 이용객의 평가를 확인할 수 있는 영상/사진 리뷰도 있습니다. 


중국인 관광객을 타겟으로 마케팅을 펼치고자 하는 업체라면 중국인들이 해외에서도 따종디엔핑을 사용하는 습관이 있음을 인식하고 따종디엔핑 입점 및 홍보를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Ⅲ. 네이버 플레이스와 비슷한 성격의 따종디엔핑

따종디엔핑의 성격과 가장 유사한 플랫폼을 찾아보았습니다. 한국에서 많이 사용하는 '네이버 플레이스'가 따종디엔핑의 성격과 비슷하다고 판단하였습니다. 업체의 위치, 메뉴, 전화번호, 영업시간, 평점, 후기와 블로그 업로드 글이 있는 부분이 고객의 후기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따종디엔핑의 형태와 유사해 보입니다. 

중국마케팅샤오홍슈따종디엔핑네이버플레이스SNS마케팅
목록
댓글 0

아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주식회사차이커님의 게시글에 첫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 새로고침
로그인 후 더욱 많은 기능을 이용하세요!아이보스 로그인